1. 머리말 신재생에너지 열 이용(신재생에너지 열)을 추진하는 정책이 금년에 개정된 에너지기본계획과 지구온난화 대책계획 그리고 파리협정에 기초하는 성장전략의 장기 전략에 기재돼 있다. 여기서 신재생에너지 열이란 태양열, 지중열, 바이오매스열, 설빙열, 온천열, 해수열, 하천열, 하수(下水)열을 말한다. 신재생에너지 열에는 각각의 특징이 있는데 그 중에서 장소와 시간을 불문하고 냉난방 등에 이용할 수 있는 열이 지중열이다. 본고에서는 지중열 이용 중에서 건축물의 공조 시스템에 편입되는 Closed Loop(지중열교환기를 이용하...
1. 코제너레이션의 개요 1.1 코제너레이션이란 ‘코제너레이션 시스템’이란 연료로 전력과 열을 생산해 공급하는 시스템을 총칭하는 것이고 일본은 ‘코제너레이션’ 혹은 ‘열병합발전’으로, 해외는 “Combined Heat and Power(CHP)” 혹은 “Cogeneration” 등으로 각각 부른다. 발전과 동시에 열을 회수하기 때문에 높은 종합효율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코제너레이션이라고 표기한다. 코제너레이션은 연료를 연소해 얻는 열에너지를 우선 고온 레벨에서만 얻을 수 있는 동력(전력)으로서 회수하고 거기서 배출되...
. . . 전체 기사는 2022년 2월호 ‘월간 설비기술’에 게재되어 있습니다.(월간지 구입문의(02)2633-4995) 본사의 승인 없이 무단전재 및 복제를 금합니다.
1.1 덕트의 저항계산과 송풍기의 기기 선정 (1) 기본사항 송풍기를 선정함에 있어 덕트의 정압계산 관련 기본사항에 대해서는 본지 특집 2를 참조한다. (2) 기획설계 시의 개략적 계산법 기획설계 시 등, 아직 덕트 도면이 완성되지 않은 단계에서 전기용량 예상 및 건설비를 개략적으로 산정할 경우에 사용한다. 대략적인 덕트 길이를 상정하고 각각의 국부저항을 케이스별 계수에 따라 직관에 할증해 구한다. Pf=Pd+Pm Pd=(1+k)×L×R 여기서 Pf : 팬의 필요정압 [Pa] Pd : 덕트계의 압력손실 [P...
1.1 송풍기의 용도 송풍기는 우리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쾌적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조화설비·환기설비로 사용되고 있다. 주로 오피스·영화관·쇼핑몰 등 상업시설의 공조설비와, 지하철·자동차 터널 등 공공시설의 환기설비에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용광로·보일러 등 공장 생산설비의 연소과정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1.2 송풍기의 구성 (1) 케이싱 케이싱은 임펠러를 덮어 공기를 빨아들여서 토출하기까지의 흐름 방향을 주도한다. 팬의 케이싱 구조를 그림 1에 나타낸다. 원심식일 경우에는 강판을 용접해 제작...
1. 머리말 ‘쥰텐도 B동’은 고도의 첨단 의료, 재해거점 병원의 기능을 가진 도시형 고층 병원사진 1사진 2으로서 에너지 소비량이 많은 건물이다. 이번에 ‘전력 평준화’ ‘에너지 절감’ ‘환경부하 저감’을 실현하기 위해 수축열 시스템과 가스 코제너레이션의 최적 조합으로써 고효율의 열공급 시스템을 도입했다. 본 시스템은 수축열용 물을 재해 시에는 잡용수로 이용하는 등 ‘BCP(사업연속성계획)’ 성능을 겸하고 최신형 BEMS(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에 의해 적절히 운용되고 있으며 ‘쾌적성’과 ‘에너지 절감’의 양립을 테마로 다양한 ...
1. 머리말 일본 국내에서 활동하는 6곳의 국립센터 중의 하나인 ‘국립순환기병연구센터’는 심질환과 뇌질환을 동일한 조직에서 연구하는 세계에서도 보기드믄 첨단 연구기관이고 고도의 의료에 대응한 550병상의 대규모 병원을 병설한 일본 유수의 거대한 의료·연구시설이다. 타 용도에 비해 소비 에너지가 큰 병원과 연구소 조합의 복합시설인 만큼 복잡하고 크게 변동하는 부하를 어떻게 보다 더 효율적으로 운전 제어할 것인가가 에너지 절감·전력부하 평준화에 있어 가장 중요한 과제였다. 본고에서는 도입한 다(多)열원 빙축열 시스템의 개요에 더...
1. 머리말 우리나라는 욕실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나 취기를 적절하게 외부로 배출시켜 쾌적한 욕실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오래전부터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중 제44조(배기설비 등)에 ‘주택의 부엌·욕실 및 화장실에는 바깥의 공기에 면하는 창을 설치하거나 국토교통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배기설비를 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현재 공동주택은 구조적으로 창을 설치할 수 없는 구조가 대부분으로 세대마다 국소배기를 위한 송풍기를 설치하여 공용 수직덕트를 통해 옥상으로 배출시키고 있으나, 겨울철 연돌효과로 인한 배기성...
1. 머리말 산업계 가열 프로세스에서는 대부분의 열원으로 증기가 사용되고 있다. 증기가열은 응축잠열을 사용하는 가열방식이기 때문에 균일하고 재빠르게 가열할 수 있어 가열 후의 복수(復水)(이하 드레인이라고 한다)를 회수·재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특히 드레인 회수는 이미 많은 공장에서 채택되고 있지만 회수 가능한 모든 드레인을 회수하는 공장은 드물다. 회수 대상이 될 수 있는 드레인을 조금이라도 많이 효율적으로 회수하는 것이야말로 에너지 절감을 크게 달성하는 길이다. 이번에 (주)티엘브이는 신제품 드레인 회...
1. 머리말 건축설비 업계의 3대 트러블·클레임은 다음과 같다. ① 덥다·춥다의 온습도 불량 ② 소음·진동 ③ 누수 일반적으로 위 3가지는 설비의 독자적인 트러블로 인식돼 그 트러블과 재발방지는 설비 기술자가 할 일이라고 생각한다. 설비는 건물에 부수적이기 때문에 ①온습도 불량에 대해서는 건축공간의 형상·구조·마감 등 설비계획·시스템·분출구 등 제기구의 위치 관계가 트러블로 이어지고 ②소음·진동은 설비 기기의 배치계획이라든가 덕트, 배관 루트 계획의 좋고 나쁨이 트러블 발생에 크게 연관된다. 그러나 ③누수 트러블은 공조...